내가 정보보안으로도 관심이 있어서 네트워크분야쪽으로 아예 자리를 잡으려고 했다.
학교도 통신쪽으로 다녔고 추가적으로 내가 여러가지 공부를 했다. 네트워크쪽으로 하다보니 재밌기도 하고 독학으로 해도 나쁘지않을것으러 생각해 쭉 공부하고있다
리눅스
이전 포스트에서도 리눅스에 대해 글을 올렸는데 역시 통신관련된거면 리눅스를 뺄 순 없다. 윈도우 다음으로 야릇하게 만져본게 리눅스이기도 하고
리눅스는 대부분 대비안 계열을 애용한다. 나는 어떤거든 프로그램이든 전자기기든 거의 하나만 판다. 똑같은걸 계속써야 마음이 편해지기도 하고 오류나 새로운 기능또한 설명서하나로만 익히면 되는거니깐
처음에는 데비안 계열의 "우분투"를 사용했다 우분투에 접한건 학교 방과후 수업으로 리눅스가 있었는데 그때 사용하던게 우분투였다. 이때다 싶어 방과후 수업을 등록했는데 반년동안 배운게 기본 명령어다. 다른사람들은 "그게 어때서?"이러지만 리눅스를 시작한지 3일된 사람이라면 의아할것이다. 왜 반년동안 기본명령어만 배웠는지 궁금할텐데 단순하다. 방과후 수업 담당선생님이 시간을 반대로 쓰셨다. 60분 수업을 50분을 인생 이야기 하고 10분을 리눅스를 했으니깐. 나는 교양수업인줄 알았다. 대학생들이 왜 수강 신청에 실패해서 화났는지 이해할수있았다.
칼리리눅스 준비하기
이제 준비하면 된다. 칼리 리눅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가상머신과 듀얼부팅
가장 보편적인 가상머신으로 설명하겠다. 가상머신은 윈도우위에서 다른 운영체제를 돌아가게 해주는 기술로 디스크와 램, CPU등 자원을 아예 분리해서 작동한다. 즉 컴퓨터 안에 또다른 컴퓨터가 있는거다.
가상머신의 좋은점은 쉽게 구축이 되고, 귀찮음이 없다. 컴퓨터의 자원을 아예 따로 분리해서 사용하는것이기에 바이러스같은것에 걱정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단점은 아까 말했다시피 자원을 따로 쓰는것이기에 그만큼 사양을 많이 높아야 원활하게 돌아간다. 자신 컴퓨터의 사양을 확인하고 가상머신으로 돌리는게 나을거 같다.
그 다음은 듀얼부팅이다. 듀얼부팅은 윈도우를 설치하는것처럼 우리 컴퓨터에 아예 설치하는거다. 즉 윈도우를 부팅할것인지 아님 내가 설치한 운영체제를 실행할것인지 골라서 부팅하는거다.
듀얼부팅의 좋은점은 자원을 공유하지않고 몰아서 쓸수있다. 가상머신과 정반대다. 사양이 안좋으면 가상머신보단 듀얼부팅이 유리하다. 또한 가상머신과 다르게 부드럽게 작동하지만 이거는 케바케다. 뭐 운영체제의 최적화에 따라 다르다.
단점은 바이러스에 걸리면 큰일나는거다. 걸리면 분명 지식인에 "컴퓨터 바이러스에 걸렸어요"라는 질문을 올리고 있을거다. 또한 컴퓨터 하드웨어와 호환이 안되는 운영체제는 구동이 힘들것이다. 특히 라이젠 계열이면 아마 호환이 떨어지지않을까 하는 내 생각이다. 호환되면 호환되는거고.....
나는 듀얼부팅을 선호한다. 내 컴터는 게임할려고 맞춘거라 딱히 사양문제없이 가상머신 돌려도 되는데 그래도 렉 걸릴거같아서 듀얼부팅을 선호한다.
아, 게이밍 컴터는 그냥 자랑하고 싶었다.
칼리리눅스는 Offensive Security라는 보안업체 회사가 만든 운영체제이다. 칼리리눅스보다 먼저 나온게 있는데 그건 백트랙이다. 백트랙도 칼리리눅스랑 거의 똑같다. 해킹툴들이 많고 환경도 있었다. 백트랙은 우분투 기반으로 만들어진 운영체제였지만 백트랙을 지원중단 하고 데비안 계열의 칼리리눅스가 나왔다.
칼리리눅스를 설치하는방법은 iso파일을 다운받아서 가상머신, 듀얼부팅 이렇게 원하는대로 설치하면 될거같다.
https://www.kali.org/get-kali/
Get Kali | Kali Linux
Home of Kali Linux, an Advanced Penetration Testing Linux distribution used for Penetration Testing, Ethical Hacking and network security assessments.
www.kali.org
칼리리눅스 파일 사이트에서 다운 받으면 되는데 내가 학생때 했을땐 조잡한 페이지였는데 바뀌었다. 보기 좋아졌다.
칼리리눅스는 정보보안용으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원한다.
윈쪽 위부터 시작하면
ARM : 임베디드 기기에 달린 시스템에 적합
Bare Metal : 기본적으로 우리가 쓰는 데스크탑에 적합
VirtualMachines : 가상머신이며 대부분 VMware, 오라클 VMbox에 사용
Mobile : 모바일이며 모바일칼리는 "넷헌터"로 이름을 날렸다.
밑부분은 최근에 생긴거 같은데 설명은 건너뛰기
설명기준은 PC기준으로 한다.
BareMetal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뜨는데 M1칩 지원되는거 보면 애플도 가능하는거 같다.
눌러서 다운 받고 컴퓨터에 칼리 설치하는거는 검색하면 된다.
뭐 검색어는 "리눅스 듀얼부팅", "리눅스 USB설치"등등 하면된다.
개발하면서 어떻게 검색하는지 보인도 무릎 탌! 치면서 알것이다.
칼리리눅스는 정보보안에서 유명한 운영체제이다. 현업에서도 사용하는걸로 알고 교육용으로도 쓰인다. 다음포스팅에는 칼리리눅스에 대해 바로 들어가면 좋을거같지만, 뭘 알아야 기본적인걸 할테니.
네트워크쪽으로 이론공부하는게 나을거같다.
그러고 보니 이론도 안하고 칼리리눅스부터 들어갔네
'리눅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일서버 - 시작하기 (1) | 2024.03.24 |
---|---|
정보보안 - AP (0) | 2023.08.13 |
메일서버 설정하기 - 동작원리 알기 (0) | 2022.08.10 |
리눅스 - 시작하기 (0) | 2021.11.16 |
리눅스 (0) | 2021.05.27 |